-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Emerging Adulthood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현지수(Hyun Ji Soo) 이아라(Lee A R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479~5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가정의 성인 진입기 자녀가 심리적 독립에서 경험하는 본질적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14명의 한부모 가정 성인 진입기 자녀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한부모 가정의 성인 진입기 자녀가 경험하는 심리적 독립과정은 머무르기엔 힘겨운 둥지, 멀게만 느껴지는 독립, 홀로서기를 향한 전환점, 홀로 남는 한부모는 ‘아픈 손가락’, 내려놓고 ‘나’를 살다, 홀로, 그리고 함께의 6개 범주와 15개의 주제 묶음, 49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부모 가정의 자녀들의 심리적 독립을 이해하고 독립을 돕기 위한 개입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tends to adopt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in-depth about how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during the phase of emerging adultho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with 14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ho were in the phase of emerging adultho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subjects’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uld be identified by six groups including ‘a nest that is difficult to stay’, ‘independence that feels far away’, ‘a turning point for independence’, ‘sorry for single parent be left alone’, ‘living myself by letting it go’, and ‘alone but together’ as well as 15 bundles of topics and 49 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 for intervention to help the single-parent’s children’s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direction for post research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