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Strength and Subjective Happines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혜영(Hu, Hea Young) 장석진(Chang, Seok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1115~11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9년 7월 17일부터 이틀간 서울지역 소재 두 개의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227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과 주관적 행복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검증을 수행하였다. 주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 절차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은 주관적 행복,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또한 주관적 행복과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이 이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높아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특성화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strength and subjective happines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in that relationship. As for the research subject two days from July 17, 2019, data of 227 students who were atte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t the moment have been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 survey which asked about the scale of personal strength, subjective happiness,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has been conducted to gather enough data. Afterwards, the Structural Equation Verification has been used to find out about the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 strength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Furthermore, the AMOS Statistics Program has been use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 ships with key variables. Whereas through the Bootstrap Procedure,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ere prove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ersonality strength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happiness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Additionally, the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also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condly, the self efficacy on career decision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with the personality strength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a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increased career-determining self-efficac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happiness experienc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