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String Instrument Fingering Teaching Method Using Visual Suppor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송이(Han Song-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1265~12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장애가 있는 아동의 현악기 교육을 위해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습장애가 있는 학습자의 시각적 선호도를 고려하여 현악기 운지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시각적 지원 및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교수법을 고안하였다. 연구결과 시각화한 교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각적 지원 요소는 글, 그림, 심볼, 아이콘 등이 있으며, 시각적 지원 유형은 시각적 스크립트, 시각적 활동 시간표, 시각적 조직도, 규칙 알림 카드 등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그룹핑 방법으로 색상, 톤, 형태, 크기, 계층, 공통지역, 근접성, 방향성, 연속성을 활용하였다. 제시한 시각화한 교수방법에서는 개방현의 저음·고음, 줄 굵기 및 계이름, 반음·온음의 운지 간격, 포지션별 계이름, 운지 번호 등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동화의 캐릭터, 음식 등을 시각적 지원 요소, 그룹핑 방법을 활용하여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학습장애아동의 특성상 음성언어나 문자언어보다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교수법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글을 읽는 데 어려움이 있는 학습자도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며, 학습자들의 동기부여를 높이고 학습 포기 현상을 예방하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for string fingering learning method that applies visual support to address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learn full notes, half notes, finger spacing and numbers with more ease and fun, fairy tale type story using visual support was explored for development. Given that there are few string instrument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tudy of string instrument fingering learning method using fairy tale story and applying visual support in a systematic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 meaningful new challenge.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review on visual support types and on visual communication principles, based on which findings, a test case was proposed for applying them to fingering teaching method in a variety of combin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rather than a technique-based memorization learning method based only on existing teacher-centered sheet music, an intuitive, easy and fun learning method that visually addressed the learner-centered thinking and content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can be developed. Secondly, the learning method applied with visual support specifically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made it easier for children who could not read, and enhanc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learning materials that could be provided to all young beginners. Thirdly, open strings and note positions could be memorized through using elements of visual support such as characters, logos, icons, colors, sizes and location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full notes and half notes in a string instrument could be intuitively represented in the fairy tale story using visual activity schedule based visual support and enhance its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