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Beliefs on the Relation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Types and Subtypes of Paranoia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혜(Ji Hye Jeong) 이영호(Young-Ho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885~9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유형에 따라 편집증의 하위유형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부정적 평가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35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성인기 애착척도(ECRS), 부정적 평가신념 척도(EBS), 박해와 받아 마땅함 척도(PaDS)를 사용한 설문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애착유형(회피애착, 불안 애착)과 두 종류의 부정적 평가신념(자신에 대한, 타인에 대한), 그리고, 편집증의 하위유형(피해편집증, 처벌편집증)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안정 애착과 피해편집증의 관계에서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신념이 피해편집증을 완전 매개하였으며, 불안정 애착과 처벌편집증의 관계에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평가신념은 처벌편집증을 완전 매개하였다. 반면, 애착 유형에 따라 부정적 평가신념의 종류를 차별적으로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role of negative evaluative beliefs as mediator variable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two types of paranoia. 350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completing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cale(ECRS), the Evaluative Belief Scale(EBS), the Persecution and Deservedness Scale (PaDS).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negative evaluative beliefs as well as between negative evaluative beliefs and two type paranoia were appeared. Second, negative evaluative beliefs appeared to have mediation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two types of paranoia. Also, the present study found full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evaluative belief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two types of paranoia. The results implied that insecure attachment and negative evaluative belief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two types of paranoia.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