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Influence of Epistemological Belief and Information Literacy on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종열(Yu Jongyo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53~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 정보활용능력, 학업 성적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시내 소재 6개 중학교 2학년 434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0일부터 7월 19일까지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SPSSWIN 23.0 및 AMOS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인식론적 신념이 정보활용능력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론적 신념은 정보활용능력과 학업 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보활용능력은 인식론적 신념과 학업 성적을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업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는 선형적(liner)이고 일방적이기 보다는 비선형적이고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t surveyed 434 second graders of six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from July 10 to July 19. The study measured the general trait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tools using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programs of SPSSWIN 23.0 and AMOS 23.0; it also, through path analysis, analyzed total effects,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es, epistemological belief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formation literacy linked epistemological belief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suggest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re nonlinear and interdependent rather than linear and one-si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