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창균(Park Chang-Gy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993~10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토의수업 맥락을 고려하여 퍼실리테이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토의수업의 지향점을 참여적 의사결정으로 설정하였다. 성공적 토의를 위한 참여적 의사결정의 원리는 ‘완전한 참여’, ‘상호 이해’, ‘협력’, ‘포괄적 해결책’, ‘공유된 주인의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적 토의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으로는 ‘토의 분위기와 환경 조성하기’, ‘퍼실리테이션 도구와 기법 활용하기’, ‘참여 형식 바꾸기’, ‘참여자의 갈등 조정하기’, ‘토의 관찰 및 피드백 제공하기’, ‘퍼실리테이터의 책임 이양하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퍼실리테이션이 토의수업 전략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퍼실리테이션 기법에 대한 교사 연수, 퍼실리테이션에 대한 인식 확대, 거시적 차원의 토의수업 설계와 실행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propose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es. In the context of discussion class, the concept of facilitation was defined and the direction of discussion class was set as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n the discussion classes, the principle of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esented full participation , mutual understanding , cooperation , inclusive solution and shared ownership . And the facilitation strategies for participatory discussion classes suggested creating a discussion atmosphere and environment , using facilitation tools and techniques , changing the participation format , managing the conflicts of participants , monitoring discussion and providing feedback’, and ‘transferring responsibility of facilitator’. In order for facilitation to be strategies for discuss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s on facilitation techniques, expand perspective of facilitation, and design and implement discussion class at the macro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퍼실리테이션 개념과 토의수업의 지향점
Ⅲ. 참여적 의사결정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