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as Improvement Factors i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순(Young Soo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359~37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업 증진을 위해 학업지연행동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학업지연 개선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실시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습동기 변인 중 하나인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지속의향과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주요 변인인 학습몰입이 학업지연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6월 2주 동안 일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학업영역 일부에서는 과반수이상의 학생들이 지연행동을 보였고 그 행동이 문제임을 과반수이상의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학업지연행동 고저집단에 따른 지연원인, 성적,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몰입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지연행동은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회피와만 정적상관을 보였고 숙달회피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13.8%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학업지연행동은 학습몰입 요소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였고, 학업몰입 요소 중 명확한 목표와 행동지각 일치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31.6%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전문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which will help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junior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examine the impa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ed from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from June 3 to June 14, 2019. Our results show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cognized procrastination behavior as a probl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procrastination (e.g., poor schedule management, peer influence, laziness), grad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in high and low procrastination subject groups. We also find that mastery avoidance has a positively influences on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show 13.8% explanation power and we find that learning flow factors (e.g., clear goals, agreement between behavior and perception) negatively impact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show 31.6% explanation pow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o improve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educators should carefully design and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