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Educational Value about Aerobics Student Athletes Experience of Team Activity: Focused on Subject Competency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민지(Ryu MinJi) 제성준(Zae SungJ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313~3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에어로빅 학생선수의 팀활동 경험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의 차원에서 어떠한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에어로빅 팀활동 경험을 전할 수 있는 에어로빅 학생선수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첫째, 건강관리 능력 차원에서 신체 건강, 체력증진, 건강한 생활 습관, 둘째, 신체 수련 능력 차원에서 자신감, 도전, 노력, 셋째, 경기 수행 능력 차원에서 상호작용, 기능향상, 경기 전술 마지막으로 신체 표현 능력 차원에서 심미적 표현력, 심미적 안목, 창의적 사고의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에어로빅 팀활동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도하는 체육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협동적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역할을 줌으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독려할 수 있으므로 체육수업에서 교육과정으로 활용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whether what kind of educational value the team activity experience of an aerobic student athlete has in physical educational program subject competency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aerobic athletes, The summary of meaning was made by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for the data that was collected like this.
As a result of selecting 6 aerobic student athletes who can convey their aerobics team experience as a research participant, First, physical health, physical strength, and healthy lifestyle were checked as terns of health management ability, Second, confidence, challenge, effort were checked as terns of physical training ability, Third, interaction, enhancement, and competition tactics were checked as terns of competence capacity ability, Lastly, aesthetic expression, aesthetic eye, creative thinking were checked as terns of physical expression ability.
As a result, team activity of an aerobic not only does it motivate students to engage in physical education activity that interest them, but as it could also encourage active activity by giving the students a role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I think it would be good to be used as an educational program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