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onnection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ith a focus on the communication domain for Nuri curriculum for 5 year old and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1st-2nd graders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Kim, Jeo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587~6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과 초등학교의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과에서 언어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의 5세 누리과정 중 의사소통영역 4개와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과 5개 각 각 25개의 항목에 대한 세부내용과 내용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계율’은 72.2%로 36개 세부내용 중 26개의 항목이 연계되었고, ‘비연계율’은 27.8%로 10개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연계의 형태에 따른 연계율의 세부형태를 살펴보면 ‘확대·심화’ 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항목별 연계율을 살펴보면 ‘쓰기’가 88.9%로 가장 높았고, ‘읽기’ 87.5%, ‘말하기’ 72.7%, ‘듣기’는 42.9% 로 개정 전과 비교하여 연계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초 연계에서 연구의 향후 과제와 방향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ommunication domain for 5 year old in the Nuri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Korean content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s well as to examine connections between the curriculum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detailed content and content achievement criteria of 25 items including four items for the communication domain in the Nuri Kindergarten Curriculum and five one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nnection rate was 72.2% with 26 items connected in the 36 pieces of detailed content and that the non-connection rate was 27.8% in 10 it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ality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conn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