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anagement Features of General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Supported by ACE Funds in Ko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명희(Kang Myu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1095~11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0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ACE 사업을 통하여 추진되어 온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 현황을 운영체제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대학 교양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CE 사업에 선정된 적이 있는 4년제 일반대학 57개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1.4%의 대학은 졸업학점 대비 교양 최소이수 비율을 21% 이상으로 운영하였고, 29.8%의 대학은 16%∼20% 범위에 있었다. 둘째, 대학 직속의 교양전담기관을 설치하고, 교양교육목표체계를 수립하고, 교양전담 전임 교수제를 두고 있는 대학이 각각 75.4%, 73.7%, 68.4%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8.4%의 대학이 단과대학 수준의 교양전담기관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설립유형별로 보면 국공립대 중 18.2%, 사립대 중 80.5%로 사립대가 단과대학 수준의 교양전담기관 운영에 더 적극적이었다. 교양학 전공의 학사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 8.8%였다. 많은 대학이 교양전담기관명으로 대학의 비전, 인재상, 특정 인물의 이름, 또는 외국어 복합어 등의 고유명사를 사용함으로써 선명성과 개혁적 이미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넷째, 교육과정의 특징을 보면 필수교양만 운영하는 대학이 57.9%, 필수교양과 일반교양의 형태가 42.1%였다. 필수교양 형태는 대학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의 교육과정 구조가 발견되었으며, 필수교양과 일반교양 형태를 운영하는 대학의 경우 세 가지 유형의 교육과정 구조가 운영되고 있었다. 다섯째, 모든 대학이 기초교육을 이수 필수로 지정하고 있었으며, 소양교육을 이수 필수로 운영하는 대학은 87.7%에 달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hanges in Korean general education through ACE funds at the undergraduate level. We studied 57 universities that were selected for ACE funding from 2010 to 2018. The main observations are as follows. First, 61.4% of universities had a proportion of 21 general education credit requirements or higher(in comparison to total graduation credit requirements) and 29.8% of universities had a proportion of 16∼20%. Second, in term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universities that created a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were 75.4%, universities that created a goal system for general education were 73.7%, and universities that had faculty solely dedicated to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68.4%. Third, 68.4% of universities had a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at the size comparable to an individual college. Further breakdown by public/private institutions, demonstrating that private institutions were much more proactive in establishing a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at the size an individual college. Rather than describing the disciplinary nature of the organization, the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 name often used a non-Korean term to represent to the university’s vision, a specific historic individual to indicate the distinctiveness of the university and its progressive nature. Fourth, 57.9% of universities only had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while 42.1% had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as well as non-required general classes. Fifth, all universities in the study designated certain required classes to provide academic skills and 87.7% of universities included morality and ethics in the regular curriculum as a requir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