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fe Loss Assessment Method based on Population at Risk using Empirical Flood Damage Dat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길호(Kim, Gilho) 홍승진(Hong, Seungjin) 김경탁(Kim, Kyungta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7호, 401~4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국내에서 자연재난 대부분을 차지하는 홍수는 매년 반복되어 인명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며, 인명피해 최소화는 방재계획 및 정책수립에 있어 우선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서, 과거 피해실적에 근거한 경험적 인명피해 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인명피해는 기본적으로 노출위험인구(PAR)와 인명피해 발생확률을 기반으로 하며, PAR은 침수구역도와 집계구 공간단위로 계층화된 인구 인벤토리 DB의 GIS 공간분석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그리고 인명피해 발생확률은 행정안전부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내 인명피해 이력과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공받은 침수흔적도를 토대로 침수등급과 인구계층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인명피해 평가방법이 향후 재난위험지구 결정, 리스크 모델링, 방재사업 대안결정 등의 실무와 학술적 연구과정에 활발히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Annual flood disasters can result in significant losses of life and property. Minimizing casualties should be a priority in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and policy. This study has developed an empirical method for estimating life loss based on past flood damage cases. Life loss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PAR (Population At Risk) and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life losses. The PAR was determined from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patial analysis with flood inundation map and population map.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life loss was determined using empirical data, such as natural disaster statistics in the 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flooding trace map. The proposed life loss assessment method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modeling flood risk and determining alternatives for flood prevention project.
목차
1. 서 론
2. 인명피해 평가체계
3. 적용성 평가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