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utcomes of Augmented Surgery Performed after Simplified Prism Adaptation Testing in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미정(Mijeong Kim) 박수철(Soochul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12, 1257~126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국문 초록
목적: 간헐외사시환자에서 프리즘적응검사로 측정한 사시각이 교대프리즘가림검사로 측정한 사시각에 비해 증가하는지 확인하고, 프리즘적응검사를 기준으로 시행한 수술의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간헐외사시에서 수술 전 교대프리즘가림검사와 프리즘적응검사로 사시각을 측정하고 프리즘적응검사 후 사시각이 5PD 이상 증가한 경우에는 늘어난 사시각을 기준으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들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 100명 중 프리즘적응검사로 측정한 사시각이 5PD 이상 증가한 경우는 76명(76.0%)이었고, 사시각의 평균 증가는 근거리에서 9.8 ± 6.3PD, 원거리에서 3.6 ± 3.5PD였다. 수술 후 1년 시점에서 성공군은 57명, 저교정군은 42명, 과교정군은 1명이었다. 수술의 성공률은 프리즘적응검사 후 사시각의 증가가 없었던 비반응군(n=24)에서는 62.5%, 증가한 사시각 전체를 반영하여 수술 목표를 늘렸던 완전증량군(n=45)에서는 68.9%, 증가한 사시각의 50%만을 반영하여 수술 목표를 조정한 부분증량군(n=31)에서는 35.5%로 다른 군에 비해 부분증량군의 성공률이 낮았다(one-way analysis of variance, p=0.01).
결론: 간헐외사시환자에서 프리즘적응검사를 통해 사시각의 증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수술 목표를 조정하는 것은 장기적인 수술 성공률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explored whether the deviation angle in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was greater when the prism adaptation test was used rather than the prism cover test.
Method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7, we performed the prism cover and adaptation tests on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If the deviation angle increased by more than 5 PD after the prism adaptation test, surgery was performed. The outcomes of patients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surger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In total, 76 of 100 patients (76.0%) exhibited deviation angle increases of over 5 PD, the mean increase was 9.8 ± 6.3 prism diopters (PD) for near vision and 3.6 ± 3.5 PD for distance vision. Satisfactory motor alignment was achieved in 57 patients; 42 were undercorrected and 1 was overcorrected. The success rate was 62.5% in the non-responder group (n = 24, patients in whom the deviation angle did not increase after prism adaptation) and 68.9% in the full augmentation group (n = 45, in whom the deviation angle was increased). In the partial augmentation group (n = 31), where the surgical target was a 50% increase in the deviation angle, the success rate was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s: The preoperative prism adaptation tes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ngle of deviation and improves the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