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mak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focusing on the Apple elementary school in the Sejong c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현욱(Hyun-Wook J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695~72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세종시교육청의 과정중심평가 도입 초기,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실천 방향을 탐색해 가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다.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연구자가 되어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방법으로 이 연구는 수행되었으며,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약 1년 동안 모두 세 명의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참여 교사 각자의 연구 과제 수행과 연구 모임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실행 과목을 정해 매회 연구 모임을 통해 도출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생산된 다양한 산출물과 연구 모임에서 나눈 이야기들이 주요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의 연구는 대체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선이해 - 실행을 위한 고민 - 실행 - 실행 후 반성 및 확장, 그리고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이어지는 계열 속에서 수행되었으나 그 내용은 참여 교사 세 명이 모두 달랐다. 이들의 실행을 분석한 결과 나는 과정중심평가가 ‘과정 중 평가’와 ‘과정에 대한 평가’,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음을 조심스레 논의하였다. 이어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과정중심평가는 최소 24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eply and to investigate the way of practicing in it.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perform this research and 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or one year, from May, 2017 to April, 2018. This research was consisted of two parts, one was study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themselves and the other was the seminar for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ir own study subjects that were drawn in the each seminars, and all the materials that were produced through these processes and dialogues in the seminars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ir project in the series which were continued pre-understanding, deliberation for action, action, reflection and expansion, and renew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but the contents of these actions were different each other. After presenting these research results, I discussed that process-based evaluation could be classified in ‘evaluation in process’ and ‘evaluation on process’. Subsequently, I also suggested that when we consider various elements related this kind of evaluation, there would be 24 types of process-based evaluation, at leas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그리고 연구자의 연구 이야기: 과정중심평가의 종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