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ocusing on Bicultural Adjustment Str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애실(Ha, Ae-sil) 김희정(Kim, Hee-j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849~88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들의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6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6명을 대상으로 1회기 당 1시간씩 매주 2회기, 총 16회기의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참여자들이 한국어에 서툰 다문화가정 아동인 점을 감안하여 회기당 1시간 이내로, 도입과 준비과정 5~10분, 집단미술활동 25~30분, 피드백 및 집단 마무리 15~20분으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참
여자들의 경험 자료들은 지속적인 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핵심범주와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자신과 주변세계를 바라보는 균형적인 시각 마련하기’ 라는 핵심범주 아래 (1)긍정적인 자기개념 확립하기, (2)가족 안에서의 의사소통 향상하기, (3)또래관계에서의 편견과 차별 극복하기, (4)다문화 수용하기라는 4개의 주제 모음과 10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교육 및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 의의를 살펴본 후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bicultural adjustment stress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or this, participants were six, 3rd-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ceeded with the total of sixteen, 1 session was organized twice a week.
Considering that participants ar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ho are poor at speaking Korean, 1 session was planned for less than 1 hour, and the session was organized for 5 to 10 minutes as an introduction and preparation process, 25 to 30 minutes for group art activities, 15 to 20 minutes for feedback and group finishing. The
experienced data from group art therapy were elicited theme collection and key category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under the key category of ‘creating a balanced view of yourself and the surroundings can derive 4 theme collections and 10 themes under the theme collections : (1)Establishing a positive
self-concept, (2)Improving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3)Overcom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peer, (4)Accepting Multi-culture. Suggesting implications for such results of discussions, education and counseling based on this limitation future studies are proposed after looking at the research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