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s Teachers by Ran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진(Cho, Hyea-Jin) 이진희(Lee, Jin-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501~5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어린이집 개인 및 조직차원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원연수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원 39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역량에 대한 교원의 직급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The Locus for Focus모델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원의 정서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은 보통정도였으며, 원장이 교사보다 ‘개인정서관리’와 ‘집단정서관리’역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원장, 원감·주임교사, 교사 모든 직급에서 공통적으로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난 정서역량은 개인정서관리역량의 ‘스트레스관리’, ‘융통성’와 집단정서관리역량의 ‘갈등관리’, ‘의사소통’ 4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직급이 높을수록 정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폭넓게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교원의 직급별 교육요구를 반영하여 정서역량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and education needs of each rank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o improve the teachers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s. To that end, 390 childcare center teachers were surveyed.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competency by rank, we conducted a one-way ANOVA and followed up with the Scheffé. In order to derive their educational needs of emotional competency and priority emotional competency with high educational needs,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was mediocre. The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recognized higher the ability to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and ‘group emotional management’ rather than teacher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for emotion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rank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emotional competency of the directors, assistant directors, and teachers all had as a priority list of emotional competency were found to be four factors: stress management , flexibility of the individual emotional manag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 communication of the group emotional management, the higher the rank, the wider the educational needs for emotional competency were. This suggests that 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grams needs to be develop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need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by rank.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