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wn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희순(Jang, Hee-S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399~4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현 성인기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현재 시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러한 인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Arnett(2000a)이 제안한 발현 성인기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8명의 설
문자료를 이용하여 집단 간 평균 비교와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성별, 지역, 학년에 따라 발현 성인기 특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발현 성인기 특성 가운데 현재 시기를 불확실하고 예측이 어려운 시기로 보는 ‘부정성/불안정’ 요인은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 요인들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하위 요인들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현재 시기를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통해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시기로 보는 ‘실험/가능성’ 요인은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일부 하위 요인들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과 일부 하위 요인들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부모로부터 독립하고 스스로에 대해 책임감을 지는 ‘자신에 대한 집중’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좀 더 헌신하는 ‘타인에 대한 집중’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 전체 및 하위 요인들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adult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 present times 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emerging adulthood dimensions. A total of 358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average compari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emerging adulthood dimension by gender, region and grade. The ‘negativity/instability’ factor that perceived the current period as uncertain and unpredictabl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factors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factors. The experimental/possibility factor, which perceived the present as a period for finding possibilities through new attempts and changes,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me sub-factors,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me sub-factors. In addition, the ‘focus on oneself’, which is independent from parents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itself, and the ‘focus on others’ which are more devoted i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o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