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on EFL writing peer feedback by two proficiency groups - Focusing on the areas of feedbac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숙(Yi, Yeon-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1147~11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최근 EFL 글쓰기 동료 피드백에 대한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어떤 피드백을 필요로 하고, 실제로 글수정에 반영하는 동료 피드백의 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이를 대학생 대상으로 수준별로 탐색한 연구는 더욱 찾아 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그런 의미에서 영어 능숙도가 비교적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글의 구성, 내용, 문법, 어휘, 기술적 사항 등에 관한 피드백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얼마나 글쓰기 수정에 반영하고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두 개의 대학생 대집단을 대상으로 동료 피드백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동료 피드백 중 가장 도움이 되었던 영역에 대해서 두 집단 공히 문법과 단어/표현을 1, 2 순위로 꼽았지만 영어 수준이 비교적 높은 집단은 그 다음으로 글의 기술적 사항을 꼽았고, 낮은 집단은 글의 구성이나 내용에 대한 피드백이 기술적 사항보다 더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동료 피드백 중 어떤 요소를 글 수정에 많이 반영했는지에 대해서는, 문법과 단어/표현, 기술적 사항에 대한 반영 빈도는 두 집단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글의 구성과 내용 측면에서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
해 훨씬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자유응답 질문을 통해 동료 피드백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본 연구의 결과와 통합하여 동료 피드백 시행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항들을 결론에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a plethora of research that has been recently conducted in the EFL writing peer feedback,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regarding the areas of peer feedback learners need to receive and actually incorporate in their revision after receiving peer feedback. It is harder to find such research that studied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of
adult learners or college students. In that context,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at areas of peer feedback two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of college students wanted the most out of such domains as organization, content, grammar, vocabulary, and mechanics. The survey also asked what areas of peer feedback they incorporated when
rewriting their argumentative essay. The research findings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grammar and vocabulary ranked the first and second in both proficiency groups when asked what types of peer feedback were the most helpful, while mechanics followed right after in the higher group whereas organization/content followed in the lower
group. As for the question of what areas of feedback they incorporated the most, not m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requency of grammar, vocabulary and mechanics in both groups but the lower group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incorporation in the areas of essay organization and content. Their perception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ir responses to the open-ended survey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peer feedback.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of the pap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