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ability, autonomy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eachers affecting class particip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육명신(Yuk, Myungsin) 박명신(Park, Myeungs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1275~12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예비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자율성지지, 교사에 대한 만족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먼저,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교육실습을 통해 교육을 받은 D지역에 소재한
중학생 615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22일부터 7월 12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자료를수집하고 정선된 580명을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과 자율성지지는 중학생의 수업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과 자율성지지는 교사에 대한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중학생의 수업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 및 자율성지지가 교사에 대한 만족감을 매개로 수업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의 수업참여의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실천적교수역량과 자율성지지, 교사에 대한 만족감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실습의 효과에 직·간접 영향을 주는 방안 마련에 이론적, 실증적 자료제공 등을 통해 중학생의 적극적인 수업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ability, autonomy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eachers.
First of all,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made. Based on this, 615 middle school students in D area who had been educated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e were included.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22, 2019 to July 12, 2019, and the structured model was verified by 580 peop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capacity and autonom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practical teaching capability and support of autonomy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Third, the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the practical teacher capacity and autonomy support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participation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eservice teacher s practical teaching capability, autonomy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must be preced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the provision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to prepare the plan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effect of educational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와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