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Art Therapy Program for Youths with Colla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왕금미(Wang, Geum 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881~9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변화와 진로탐색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경기꿈의대학 과정중 진로탐색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부터 12월까지 콜라주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청소년들의 정서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도구는 K-HTP 사전, 사후 검사이다. 정서변화 및 진로탐색은12회기프로그램 작품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서 청소년들의 K-HTP 그림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긍정적인 정서변화를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프로그램과정 중 행동관찰에서 드러나는 행동은 집단적으로 방어하는 태도에서 상호협동 및 토론으로 소통하는 방식으로 자기표
현을 하였다. 또한 작품내용에서는 정서적 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적성을 강점으로 진로방향설정에 기여하였다. 이는 청소년에게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경험이 정서적인 변화와 함께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변화 및 진로탐색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the experience in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s with collage means in youths’ emotional change and career explor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12 sessions of the collage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s were conducted to 5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art therapy program for career exploration during the course of Gyeonggi-Dream University from Apr. to Dec. 2018 by the researcher. K-HTP pretest-posttest is a tool to examine the emotional change of
youth. The conclusion in emotional change and career exploration was drawn from the work in 12 session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positive emotional changes resulted from the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s with collage based on components of K-HTP drawing of youths. The participants’ behaviors observed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involved self-expression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nd discussion in a
collectively defensive state. Besides,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 was observed in the contents of (their) works, while they used their aptitude as their strength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areer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in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s with collage provided youths with the opportunity for career exploration along with emotional chan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for groups with collage is suitable for emotional change and career exploration of the you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