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Types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기혁(Ryu, KiHyeok) 이영주(Lee, Young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739~7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월 1회 약 10차시의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운영하였으며, 이 중 6월 ‘저울 만들기’ 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대화
를 내용분석하고,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의 팀 성취 결과와 학생들의 평소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팀 성취 결과가 높은 집단은 문제정의 단계에서 ‘계획수립’과 관련된 메타인지적 상호작용의 비율이 팀 성취 결과가 낮은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평가 단계에서 ‘탐구’와 관련된 인지적 상호작용의 비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메타인지적 상호작용 비율은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사회·정의적 상호작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문제정의 단계에서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지식공유’와 관련된 인지적 상호작용의 비율은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낮았으며, ‘의사결정’과 관련된 인지적 상호작용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협력과정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설계적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verbal interactions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tudents conversations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consisting of 10 lessons. And this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team achievements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he
students usu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group with high team achievement resulted in a higher proportion of metacognitive interactions related to planning at the problem definition stage than other groups. And in the evaluation stage, the proportion of cognitive
interactions related to inquiry was prominent. Secondly,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had higher metacognitive interactions than those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relatively low socio-emotional interactions. Also, In the problem definition stage, the proportion of cognitive interactions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of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was low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roportion of cognitive interactions related to decision making was relatively hi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deeply understand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elementary students and dra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by analyzing verbal interaction types i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