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Heterogeneity: Focused on the North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수(Kim Byoung-S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1321~134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북한의 신문과 잡지에 대한 이질화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통일 국어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노동신문』2015년 1년 동안 발행했던 것과 『천리마』1990년 9호와 2009년 12호이며, 분
석 방법은 내용 분석 방법을 기준으로 어휘적 특성, 형식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신문은 남북한의 의미와 문법 차이가 있는 어휘들과 함께 북한 자체의 어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잡지의 경우에는 내용에 있어 북한 사상을 고취하는 것보다
는 일상적인 사람들의 삶을 나타내는 것들이 더 주류를 이루었다. 남북한 언어 통합은 교육적 실천과 연계시키는 작업이 중요한 과제이다. 통일 국어 교과서는 통일 대비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가교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terogeneous aspects through case analysi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in North Korea,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unification Korean text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 year of 『Nodong News』, 2015, and 9, 1990, and 12, 2009 of 『Cheolima』.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lexical and form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North Korea newspapers used vocabulary with differences in meaning and grammar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y were appeared North Korea s own vocabulary. In the case of magazines, the contents of the magazines were more
mainstream than everyday life rather than for ideological inspiration in North Korea.
Language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an important to link it with educational practice. Unification Korean textbooks are expected to act as a bridge in terms of unification and as an effort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목차
Ⅰ. 서 론
Ⅱ. 남북한 언어의 차이와 언론 매체 분석
Ⅲ. 북한 언론 매체의 이질화 양상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