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otivation for change and self-regulation difficul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ddicted to smart-phon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Kim, Kyung-Eun) 조수연(Jo, Su-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1057~10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의 동기를 파악하고, 자기조절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상은 대학생 집단으로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대인관계, 학교생활, 사회적응적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자에 대한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대한 사실적 기술 등의 단편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현상적 내용과 대처 방법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탐구하는 경험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귀납적 분석 방법(Induction Analysis)을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self-regulation) 과정과 자기조절 방해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5년 3월~5월에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 표집, 면접질문지 작성, 자료수집(인터
뷰), 자료분석, 감수의 과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은 스마트폰 자가진단 중독 척도에서 65점 이상으로 응답한 잠재적 및 위험 사용자군들 중에서 현재 특별한 정신병리적(진단) 어려움을 호소하지 않는 대상을 선별하였고, 스스로 스마트
폰 사용 자기조절이 어렵다고 지각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11명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스마트폰 사용자에 대한 심리내적 내용을 확인하였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실패 과정을 알아보
았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 조절을 위한 향후 상담 교육 및 지도의 개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motivation of self-regulation on smart-phone use and to analyz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self-regulation process. The students who scored over 65 in the “Korea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 were preliminarily selected. Then, 11 students out of the first-selected group were finally chosen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y have recognized their difficulties in self-regulating smart-phone use. Second, they had no special mental and health issues. An induc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subject selection, Interview flow chart writing, and interviewing.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are two main components for self-regulation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negative problem awareness, desire of
productive lives. On top of that, the study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experienced the following self-regulation difficulties: personnel temperamental trait, self-display desire, characteristic of media, fear of relationship dissolution, tolerance, withdrawal, and ambiguity of regulation metho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explained in three ways. First,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was deeply comprehended through this study. Second, it ha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college students were motivated or fail to use their smart-phone. Last, it empirically confirmed the future direction for
counseling interv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