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하은(Kwon Ha Eun) 이기선(Lee Kee 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3호, 965~9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11 월 30일 경기도 S시 소재 S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남녀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사회적 지지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3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자료 50부를 제외하고 250부가 최종 자료로 활용되었다. SPSS 21.0 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 사이에서 취업스트레스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특성화
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생의 취업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는 부분 매개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특성화고 학생에게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학생들이 경험하는 취업스트레스의 감소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
한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ek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on November 30, 2018, 300 students of freshmen, sophomore and junior of S vocational high schools in S city,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on the teacher’s social support sc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nd job seeking stress scale. Of the 300 collected data, 250 were used as final data, with the exception of 50 unreasonably responded. Using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earch model of
teachers social support influenc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students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students job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s is important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rough these social suppor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job seeking stress experienced by students and to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