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presenting vocabulary on elementary learner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은선(Lim Eun Sun) 김지영(Kim Jie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2호, 939~9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어휘학습에 효과적인 단어 제시 유형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그 결과가 일치하지 않아 많은 논의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 정보와 범주 정보를 초등영어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단어 단기학습과 기억에 효과적인 유
형을 알아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6학년 3개 반(A, B와 C반) 88명의 학생들은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A 집단(의미 정보만 제공), B 집단(의미 + 시각 정보 제공)과 C 집단(의미 + 시각 + 범주 정보 제공)으로 나뉘어 단어를 학습하였다. 사후평가가 단어
학습 이후 바로 시행되었으며, 지연 사후 평가는 학습과제가 끝난 3주 뒤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즉각 사후 평가 결과에서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어휘 제시의 유형은 학습자의 단기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
았다. 둘째, 지연 사후 평가의 결과어휘 제시 유형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결과를 세분화 하여 의미 지식의 4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을때, 수동적 회상 부분에서는 의미만을 제시한 A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
째, 학습자들을 상․하위 그룹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상위 수준의 학습자 그룹에서는 지연된 사후 평가에서 의미와 시각정보를 제공 받았던 B집단이 주제 정보를 제공 받은 C 집단 보다 더 효과적인 어휘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type of presenting vocabulary on elementary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and retention. Eighty eight students in 6th-grade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A, B and C groups according to the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A) English words + Korean meanings, (B) English
words + meanings + congruent pictures and (C) English words + meanings + congruent pictures + the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ost-test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groups. Each different type of vocabulary presentation did not affect learners short-term vocabulary learning.
Second, according to the delayed post-test result,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presenting vocabulary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ve recall part, however, when it was analyzed in four types of knowledge of meaning. The group A with only English words + meanings got a higher
score than group C with English words + meanings + congruent pictures + theme.
Third, as for the effect of types of vocabulary presentation on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and retention based on learners level,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in the retention of higher-level subjects. In conclusion, when the new vocabulary is presented on elementary learners, the types of presenting vocabulary do not have any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