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ed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Burnou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형순(Hyoungsoon, Lee) 박성희(Sung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2호, 45~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당면한 다양한 사회적 경험 중에서,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밝히고, 그 결과 사이에서 정신건강(정신적 웰빙과 심리적 부적응)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2월까지 6개월 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서울지역 송파구 소재 한 초등학교 6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한173명(남자 91명, 여자 8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우선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와 학업소진간의 관계에서 정신적 웰빙과 심리적 부적응이 갖는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업소진 관계에서 정신적 웰빙과 심리적 부적응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burning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the academic burning among the various social experiences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mental health among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97 male students and 91 female students were enrolled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s in Songpa - gu, Seoul participated in this survey. Of these, the result of 173 students (91 males and 82 fema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each variable and sub-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lationship of the social support, mental well-being, and academic burning showed that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mental well-being with 60.6% explanatory power.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s an explanatory power of 18.5% for the academic burning and it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academic burning.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burning showed that ment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had partially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bu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