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gnosis and Disorganization of Retinal Inner Layers in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with Dexamethasone Implant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강현지(Hyun-Ji Kang) 조용운(Yong-Wun Cho) 김병선(Byeong-Sun Kim) 정지성(Ji-Sung Jeong) 박종문(Jong-Moon Park) 정인영(In Young Chung) 유웅선(Woong-Sun Yoo)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11, 1058~106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목적: 유리체내 덱사메타손삽입술을 시행한 망막중심정맥폐쇄 황반부종환자에서 망막내층손상과 시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이전에 유리체내 주입술을 시행 받지 않은 망막중심정맥폐쇄 황반부종환자 중 유리체내 덱사메타손삽입술을 시행한 22명 22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각 방문마다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망막내층손상의 범위와 추가적인 빛 간섭단층촬영 결과는 망막중심오목을 중심으로 2,000 μm 넓이의 영역에서 평가하였다.
결과: 22안(평균 연령, 74.5 ± 8.92세) 중 21안(94.5%)에서 망막내층손상이 발견되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초기 최대교정시력은 초기 망막내층손상의 범위(p=0.005, r=-0.58)와 바깥 경계막 및 광수용체 내절의 타원 영역의 손상 범위(p=0.015, r=-0.51; p=0.011, r=-0.533)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종 최대교정시력은 초기 최대교정시력(p<0.001, r=0.74)과 초기 망막내층손상의 범위(p=0.04, r=-0.3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또한 최대교정시력의 변화는 처음과 최종 내원 시 망막내층손상의 변화량과 관련이 있었다(p=0.041, r=0.439).
결론: 망막중심정맥폐쇄 황반부종의 치료로 유리체내 덱사메타손삽입술에서 초기 망막내층손상의 범위와 최종 내원 시 망막내층손상의 변화는 시력 개선을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xamine whether disorganization of retinal inner layers (DRILs) at baseline and after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visual acuity in patients with macular edema secondary to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 who were treated with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records of 22 patients with treatment-naive CRVO with centrally involved macular edema treated with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s. Spectral domain-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s were obtained during each visit. The DRIL extent and additional parameters were evaluated in a 2,000 μm-wide foveal centered area.
Results: In the 22 patients (74.5 ± 8.92 years), baseline DRIL was observed in 21 eyes (94.5%). Using univariate analysis, baselin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xtent of baseline DRIL (p = 0.005, r = -0.58), and the extent of external limiting membrane disruption and ellipsoid zone (p = 0.015, r = -0.51; p = 0.011, r = -0.533, respectively). The final BCV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aseline BCVA (p < 0.001, r = 0.74) and extent of DRIL (p = 0.04, r = -0.35). Changes in the BCVA were correlated with changes of DRIL between baseline and the final visit (p = 0.041, r = 0.439).
Conclusions: The extents of baseline DRIL and DRIL changes after treatment with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s for macular edema secondary to CRVO may be useful parameter for visual acuity improvement.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