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xed-term Teachers’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the Fixed-term Teacher System: A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윤초희(Yoon, Chohee) 안홍선(Ahn, Hongseon) 장환영(Jang, Hwanyo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105~1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간제교원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쟁점에 대해 기간제교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에 기초하여9가지 쟁점(법적 지위, 고용의 안정성, 채용과정의 적절성, 계약조건의 합리성, 처우·복지, 업무분장, 소속감 및 자존감 제고, 전문성 개발 및 연수 기회, 교육활동 성과 관리 및 평가)에 관한 분석 범주를 도출하였고, 전국의 기간제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기간제교원의 1/3에 해당하는 14,592명의 유효한 응답 샘플을 분석한 결과, 기간제교원들은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해 모든 요소에 대
해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반면에, 만족도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요도-만족도 간차이가 크게 나타난 항목은 고용안정성이었으며, 이어서 처우·복지, 합리적인 업무분장 순이었다. 이들쟁점사항의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개인특성 및 소속학교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기간제교원을 선택한 이유,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학교유형과 학교급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여성, 40대, 경제적 목적으로 기간제교원을 선택한 집단, 7~10년 경력자, 국공립학교 재직자,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반면, 여성, 40대, 경제적 목적 집단, 7~10년 경력자, 사립학교 재직자, 고등학교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the fixed-term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fixed-term teacher system and investigates if these perceptions change depending on various person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study subjects were fixed-term teachers that had been employed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July 2018. Data was collected using online surveys, and the amount of legitimate responses gathered comprised about 1/3 of the fixed-term teacher popul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fixed-term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employment s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their successful job performances. Secondly,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s to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reasons for choosing career, females, teachers in their 40s, teachers who chose to be a fixed-term teacher for financial reasons, and teachers who had 7-10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more cognizant of the fixed-term teacher policy and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n other corresponding groups. Thirdly,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as to the type and level of school, on some aspects teachers working in public schools and middle school teachers were more cognizant of the fixed term teacher policy while privat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n other corresponding group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chang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