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evelop Activities of Digital Textbook on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남구(Heo Na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정책적으로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보급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은 긍정적이라 볼 수 없으며, 이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이 모듈형 디지털교과서를 직접 개발하는 과정에서 디지털교과서 효과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활동은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창의력 신장, 문제해결력 신장, 학업성
취도 향상, 수준별 학습 및 자기주도적 학습, 다양한 지식과 경험의 제공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교사-학생간 상호 작용 및 학생-학생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토론 및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디지털교
과서 활용 수업은 학습 동기 유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나, 학생들이 수업을 재미있게 생각하도록 도와줄 것이라는 인식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Korea was pushing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digital textbooks as a policy, but the perception that teachers who conduct actual classes had about digital textbook utilization classes was not positive, which could affect classes using digital textbooks.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perception of digital textbooks change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modular digital textbooks themselves. As a result,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activities positively changed awareness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adap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provision of diverse knowledge and experience, facilitated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to-student interaction, and positively changed awareness of discus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It also positively changed the perception that digital textbook use classes would help motivate learning, but changes in perceptions that would help students find classes interest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