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lexity and Accuracy of Writing Materials by Korean Learners -the applicability of measuring indica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우동(ZHU YUT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1387~141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산출에서 나타난 복잡성 및 정확성이 어떤 발달양상을 보이며, 학습자의 쓰기 점수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중간언어 발달을 측정하는 지표로서의 복잡성 및 정확성이 한국어교육에도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가 잘 반영되고 여러 변인이 효과적으로 통제된 한국어능력 모의시험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복잡성과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쓰기 자료는 중국, 일본, 미국 등 세계 여러 국가의
학습자들이 쓴 것인데 본 연구는 각 등급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등급에모두 30명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인 학습자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또한, 쓰기 주제가 복잡성과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3개 주제의 글쓰기 자료를 균형적
으로 선택하였다. 복잡성은 통사적 복잡성 및 어휘적 복잡성으로 구분하였으며 통사적 복잡성 측정요인은 문장 길이(문장 당 어휘 수), 문장 확장(문장 당 연결어미 수,문장 당 전성어미 수, 문장 당 인용조사 수)으로, 어휘적 복잡성은 어휘 다양도, 어휘
밀도, 어휘 세련도로 설정하였다. 정확성은 오류문 비율과 문장 당 오류 수를 통해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문장 당 어휘 수, 문장 당 연결어미 수, 문장 당 전성어미 수가 전체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중<상). 그리고 오류
문 비율과 문장 당 오류 수가 모든 집단 간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하>중>상). 또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의 복잡성과 정확성 하위요인들을 확인한 결과 통사적 복잡성 하위요인 중에 문장 당 연결어미 수는 39.4%의 설명
력, 문장 당 전성어미 수는 25.8%의 설명력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고, 정확성 하위요인 중에 문장 당 오류 수는 22.6%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ability and find effective indicators for measuring writing ability. So Topic writing materials were used for this purpose. Complexity is divided into syntactic complexity and lexical complexity. The metrics of syntactic complexity consists of
sentence length(the number of words per sentence), sentence expansion (the number of connected endings per sentence, the number of changing endings per sentence and the number of quotation postpositions per sentence). The metrics of vocabulary complexity consists of lexical diversity, lexical density and lexical sophistication. Accuracy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erroneous sentences and the number of errors per sent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groups as for the number of words per sentence, the number of connected endings per sentence, the number of changing endings per sentence, the ratio of erroneous sentences and the number of errors per sentenc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onnected endings per
sentence had a 39.4% explanation, the number of changing endings per sentence had a 25.8% explanation and the number of errors per sentence had a 22.6% explanation on the writing sco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