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Program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은영(Cho, Eun-Young) 이신동(Lee, Shin-D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407~4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다문화 가정의 자녀에게 적용된 사회· 정서관련 프로그램 연구들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2018년까지 연구된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를 바탕으로 PICOS에
의거한 23편의 연구와 48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평균 효과는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으며 조절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유형은 사회기술지원 유형, 연구대상은 중학생, 실
험 인원은 20-29명, 적용 회기는 11-20회기로 진행했을 때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인식과 존중에 관련된 변인의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를 대상으로
적용한 사회·정서 프로그램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관련 프로그램 개발·적용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of studies related to social and emotional programs applie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meta-analysis, and to conduct systematic analysis. To this end, 23 studies under PICOS and 48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ses and journals of master s and doctorate degrees studied in Korea from 2009-2018,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The study found that the overall average effect was large effect size, and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variables revealed that the program type was the largest in social skill support program, middle school students, 20-29 experimental
group, and the application session was conducted in the 11-20 session. Analysis by dependent variables shows that the effects of self-identification and respect are the largest.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is an objective analysis of social and emotional programs applied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y be used as appropriate evidence when developing and applying related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