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n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미(Lee Jungmi) 이길재(Lee Giljae) 강지연(Kang Jiy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355~3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과정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경험이 대학생의 핵심역량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대학생 핵심역량을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역량, 자기주도적 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2015-NASEL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분석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은 프로젝트․공모전, 학습스터디활동, 자원봉사활동, 현장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위의 비교과활동들과 함께 동아리 활동, 어학연수․교환학생 참여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영향 요인들간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프로젝트-공모전 참여가 비판적․분석
적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교과활동 중 동아리활동은 대학생의 주요 핵심역량과 무관하거나,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보였다. 다섯째,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은 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아르바이트 시간은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 핵심역량으로 정의한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생과 대학 차원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t universities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ategorized core competencies as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competencie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the 2015-NASE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considering the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se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⑴ The variables of project participation, study group activity, community services activity, and practicu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three competencies of critical and analytic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competencies, whereas interests group activity and
language program/exchange student program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only with self-directed competencies. ⑵ Project activity and competition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s on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⑶ Interests group
activities amo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irrelevant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re competencies. ⑷ Fema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compared to male counterpar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