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ademic Motivation Profiles: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이나(Shin Yina) 송영명(Song YoungM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125~1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업동기의 프로파일을 분류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차원적 특성을 지닌 학업동기 프로파일을 분류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개인중심적 접근의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이 활용되었다.
2016년 12월 ~ 2017년 2월에 걸쳐, 대구·경북지역의 일반계 고등학생 총 474명을 대상으로 학업동기와 기본심리욕구, 학업(수업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및 심리적 결과변인(우울불안, 주관적 안녕감, 자존감)을 조사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 프로파일은 자율동기가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자율동기형(11.6%)’’, 모든 학업동기가 평균수준을 나타내는 ‘복합형(52.5%)’, 무동기만 평균이상을 나타내는 ‘무동기형(15.6%)’, 무동기와 통제동기가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낸 통제동기형(20.3%) 으로 구분되었다. 기본심리욕구, 학업적 및 심리적 결과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율동기 프로파일에 속한 학생의 경우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었으며, 학업 및 심리적 결과변인에 가장 적응적이었다. 또한 무동기형과 통제동기 프로파일에 속한 학생들은 학업적 및 심리적 결과변인에 부적응적으로 나타나 동기의 위기상태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DT) s academic motivation using latent profile modeling of high school students. Measures of academic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were collected from 474 (208 females, 266 males) in 9th and 10th
graders. By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es,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identified: high autonomous motivation(11.6%), combination motivation(52.5%), high amotivation classes(15.6%) and high controlled motivation(20.3%). To explore the features of classes, their relationships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were compared. Findings support SDT that high autonomous motivation class was adaptive to academic and psychological outcome. The crisis academic motivation classes showed high amotivation classes and high controlled motivation clasess.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academic motivation classes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tailored education applications of findings with regard to academic motivation profi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