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s for Practical Dokdo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진(Kim, Hye-Jin) 서태열(Seo, Tae-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1123~11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도교육의 새로운 방향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일본의 주장에 대한 대응논리로서의 교육, 지식 중심 독도교육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교육방향의 모색이 있어야 한다. 이에 현재 독도교육 및 교재를 검토하여,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독도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나의 정체성 확대로서의 독도교육이어야 한다. 방어적 입장으로 일본에 대한 대응 논리를 익히는 교육에서 벗어나 영토자주권이라는 당위적 입장에서의 독도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활동중심 교육으로 학생이 독도를 감성적으로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미래역량을 기를 수 있는 창의융합형 독도교육이어야 한다. 독도는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가 살아온 땅이었으며 여러 근거에 의해 우리 영토임이 분명하다. 학생이 독
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동과 감성적 인식을 통해 영토감수성을 내면화하도록해야 한다. 그래야만 진정한 영토애와 영토주권의식, 합리적인 민족애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rgues for the necessity of new directions for Dokdo education. Dokdo education needs to transfer to new directions out of the education and knowledge-centered Dokdo education, in response to Japan’s claim.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Dokdo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and proposes the directions for practical Dokdo education reflecting the new needs of the times. Dokdo education from now on, first needs to teach from the ‘should’ perspective of territorial sovereignty as Dokdo education for expanding our identity. Second, it
needs to be activity-oriented Dokdo education that enables sensuous cognition. Third, it needs to be creative fusioned Dokdo education that enables to foster future capability.
Dokdo is the land where we have lived in our long history and obviously our territory according to a number of grounds. Dokdo education necessary for the students who will be the citizens of the future should be the education that could awaken them to take interests in Dokdo and should be directed to make them internalize that Dokdo is our
territory through activity and sensuous cognition. Through this, they should be able to foster a true love of territory and territorial sovereignty consciousness.
목차
Ⅰ. 서 론
Ⅱ. 독도 관련 연구 및 독도교육 정책
Ⅲ. 초등학교 독도교육 현황
Ⅳ. 독도교육의 새로운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