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인영(Kym. In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1437~14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영어권 EU 국가와 아시아 EFL 국가를 중심으로 각 국의 언어정책과 그 파급효과를 살펴보고, 대학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어전용강좌의 교육적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전용강좌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유럽과 아시아 주요 국가의 영어전용강좌 관련 연구를 분석하면서 그 효과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2010년 이후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EFL 환경인 한국에서 영어전용강좌가 성공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교수자와 학습자 관점, 교육과정과 교재 관점, 그리고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각각 살펴보았다. 영어전용강좌는 교육환경에 따라 그 효과성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영어수준이 낮은 학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어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 더욱 유익하다는 점에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큰 이견이 없다. 즉, 영어전용강좌가 영어활용능력뿐만 아니라 지식습득 측면에서도 학습자 간격차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영어전용강좌가 야기하는 문제
를 해결함으로써 그 교육적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고등교육기관에서 내용언어통합교육(CLIL)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English has become the World language by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and many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untries have adopted diverse educational policies to support students acquire higher English proficiency for better jobs. In particular, EMI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policy has been broadly implemented a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n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 of EMI class a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upon the earlier studies on language policy and its impact. For that purpose, firstly studie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EMI class in Europe and other Asian countries were briefly reviewed, and it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were
compared. Then, domestic studies in the related field were mor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From these analyses, issues crucial for EMI success were addre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structors and students), curriculum & materials, and socio-economic impact.
The analysis of the earlier studies revealed that EMI policy has been broadly adopted in EU countries and Asian EFL countries since early 1990s, and its practice has brought about controversies over its educational effects at individual level and societal level as well. Although the effects of EMI class were report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s,
most studies agree that English proficient students benefits more from EMI class while less proficient students gain less from it, which causes widening achievement gaps in both English ability and knowledge-specific ability among students.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were briefly suggested to facilitate Korean EFL students integrated
learning of field-specific contents and English language through EMI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주요 개념의 정의
Ⅲ. 연구 결과
Ⅳ. 효과적인 영어전용강좌 운영을 위한 고려 사항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