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Game Play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현(Kim Seong Hyun) 이승주(Lee Seung 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173~1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게임 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의 운동능력, 주의력, 그리기 표상능력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효과를 위해 선정된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56명이였으며 평균 월령 64.74개월 이였다. 실험처치는 8주간 16차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는 게임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이 처치되었으며,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이 처치되었다. ‘유아 운동능력 척도’, ‘유아 주의력 결핍 검사도구’, ‘그리기 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운동능력, 주의력의 하위 요인인 충동조절, 그리기 표상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game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motor proficiency ability, attention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56 young children whose mean age is 64.74 months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sixteen times for eight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game play for young children,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outdo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Nuri-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It used ‘motor proficiency ability sclae’, ‘Korean version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Scal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in collection of data. The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Results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motor proficiency ability, impulsiveness control
which sub scale of attention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게임놀이와 연계한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