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ploring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ern Thai Classrooms
이용수 6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Jun-on, Nipa Kim, Rae Young(김래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693~72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국의 특수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교육과정과 수학 교육 실행을 하나의 사례로서 분석하여 다문화 수학교육 정책과 수행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태국 북부의 “고산족 (Hilltribes)”이 살고 있는 3개 주의 9명의 수학 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고 교사와의 인터뷰, 수업지도안,학생들의 산출물 등을 수집하여 선행연구 고찰로부터 구성한 분석틀로 범주별 의미 중심의 분석적 코딩을 통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은 다문화 교실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제
대로 된 다문화 수학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대한 세 가지 이유로 먼저, 교사들은 소수 민족 학생들에게 낮은 기대를 갖고 있었다. 또한 언어적 문제로 인해 교사들은 소수 민족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의 다양성을 강조하지 않는 국가 정책과 표준에만 의존한 나머지 모든 수업을 국가 교육과정에 맞게 “Thai-ness”를 강조한 수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수학 교육에 대한 인식의 출발점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Northern Thailand, the settlement of ethnic minority groups, called by the nation as “Hilltribes”, has led to the diverse classrooms. Apart from examin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failed to reflect classrooms with students from ethnic minority groups, this study aims to examine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ern Thai mathematics classrooms using a developed research analytic framework.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were collected from nine mathematics teachers in three
provinces of northern Thailand through the interview, artifacts, and observation, and analyzed by analytic coding method under the categories of the research analytic framework. The main result of this case stud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ted teachers do not manifest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This study found that it resulted from the teachers’ unawareness of its necessity due to three reasons. Firstly, the teachers gave their low expectations for students from ethnic minority groups. Moreover, the teachers misinterpreted students’ performance because of the language obstacle. Finally, the teachers simplified their teaching by relying only on national plans and standards that do not emphasize students’ ethnic diversity. The suggestions to initiat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are also provided in this stud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