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Coach-Athlete interaction, Team Atmosphere, and Athlete Burnout through Path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구인(Jung, Kookin) 임동기(Lim, Dongki) 최헌혁(Choi, Hunhy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1081~11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분석을 통해 여자프로농구 선수가 지각한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여자프로농구 6개 팀 78명의 선수로부터 코칭
행동(자율성지지 및 통제적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기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에 대한 내용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율성지지 코칭행동은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통제적 코칭행동은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팀 분위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팀분위기는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긍정적으로 팀 분위기를 유지할 경우 여자프로농구 선수들의 탈진을 낮추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ing behavior, interactions among coach-athlete, team atmosphere and athlete burnout through path analysis in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players. For this, measurements were made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78 athletes from 6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teams regarding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team atmosphere, and athlete burnout. Collected data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hypotheses in this study was α=.05, and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β=.448, p<.001). Second,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β=-.363, p<.001). Third,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atmosphere (β=.397, p<.001). Fourth, team atmosphere had a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β=-.274, p<.05). Lastly,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had a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β=-.314, p<.01). Over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from a positive aspect, when teams have strong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and good team atmospheres, this prevents athlete burnou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