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college culture: A comparison of lowerclassmen and upperclass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미정(Jang, Mi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763~7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 체계, 학내 지원 기관, 대인 관계 등을 포함하는 대학 생활문화에 대해 외국인 학부생들이 학년 차에 따라 어떠한 교육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은 크게 증가했지만, 일부
유학생은 대학 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학업을 마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교과, 비교과, 행정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
응을 돕기 위한 지원 가운데 하나인 교육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국내 대학 3곳에 개설된 학업 한국어 등 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외국인 학부생 152명을 대상으로 유학생들이 대학 생활 문화 항목에 대해 어떠한 교육 요구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대학 생활 문화 항목을 교양 수업 등의 교과차원에서 배우기를 요구하였다. 대학 생활 문화 범주를 ‘학사 체계 및 제도, 학내 지원 기관 및 제도, 학내/학과 활동 및 행사, 대인관계, 진로 및 취업, 주거 및 생활비’
로 구분하였을 때, 다른 범주보다 학사 체계 및 제도에 대해서 저학년의 교육 요구가 높았다. 두 집단 간의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비교하였을 때, 저학년은 ‘학점 체계, 전공 체계, 수강 신청 방법’ 등에 대해 교육 요구가 높았고, 고학년은 ‘취업 규정, 한국
문화 체험 활동, 학교 축제’ 등에 대해 교육 요구가 높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 학년에 따라 대학 생활 문화 교육에 중점을 둘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year in terms of college culture, including the academic system,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is increasing, but some fail to adjust to college life and complete their studies. To address this, universities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at the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level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help foreign students adapt. This
study, which focuses on educational support, surveys 152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opened at three universities regarding their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college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se students would like to learn about college culture in their liberal arts classes. When college life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the academic system; university support centers and systems; schoolwide or departmental activities and ev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reer and employment; and housing and living expenses—lowerclassmen show higher needs within the academic system than in other categories. When comparing the educational prio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lowerclassmen have a higher need for education regarding the credit system, the major system, how to register for classes, the seniors express higher demand for education regarding employment regulations, Korean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school festival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best to vary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learners’ academic year.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