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chool Adaptation, Self-effici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서희(Lee, Seo Hee) 김기민(Kim, Ki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921~9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구조적인 인과관계에 의해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이며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4월 3일부터
4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행복감은 보통보다 높
았으며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과 행복감은 모두 유의한 정(+)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모형에서 모두 직접적으로 행복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부모양육태도 및 학교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school adaptatio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tructural causality. The research target is a fifth- and sixth-grade student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3 to April 5,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9.0 and AMOS 20.0 program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but male student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han female students.
Second,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school adap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the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ifth, the parenting attitude, school adaptation,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influence directly on the euphoria in the structural model. Especially, self-efficacy was influenced by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aptation on euphoria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