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ural Area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Place Formation: Focus on Apartment Residantial Exper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현(Kim Yo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15~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촌락지역의 급속한 아파트화가 초등학생들의 마을 장소감 형성과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그것이 초등 사회과교육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촌락지역에서 같은 아파트로
이사한지 1년 이내의 초등학생 12명을 선발표집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심상지도 그리고 질문지를 활용하여 마을에 대한 장소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촌락지역에서 살지만 아파트에 거주하지 않는 초등학생 17명의 장소감을 질문지로 측정하
여 아파트 거주가 마을 장소감 변화에 변인으로 유의미한지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촌락지역에서 아파트 거주는 초등학생의 마을에 대한 심리적 범위를 변화시키고 아파트를 마을에서 독립적 장소로 표현하는 장소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
비거주 초등학생들도 아파트로 인해 마을에 대한 장소감이 일부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촌락지역에서 온전한 마을의 장소감을 가르치기위해서는 아파트라는 장소에 대한 복합적인 관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rural areas of today rapidly change into apartments and affect the formation and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place formation.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moved to an apartment in a rural areas were selected, and a sense of place for the village was confirm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mental maps. and the same rural area, 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 not live in apartment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apartment residences in rural areas changed the psychological ext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pressed the apartment as an independent place in the village.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non-residential apartm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at their apartments had some changes in their feelings about the vill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complex view of apartments is needed to teach the sense of place in a village in a rural area.
목차
Ⅰ. 서 론
Ⅱ. 장소감의 의미와 구성요소
Ⅲ. 연구 참여자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