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Three-Year Longitudinal Study on Children s Temperament: An Analysis of a Latent Growth Curve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홍(Kim Ki Hong) 이주리(Lee Juli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337~3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기질발달인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 발달궤적이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차년도(2013년) 4학년 450명을 대상으로 2차
년도(2014년), 3차년도(2015년) 1년마다 추적 조사하였으며 표본 탈락률은 양 4%정도 였다.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 LGM) 분석을 통해 아동의 기질 중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을 추적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남성성 고정관념과 여성성 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 5학년까지는 증가하다가 5학년에서 6학년에는 증가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이차곡선 형태의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애 발달궤적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선형변화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5학년과 6학년이 되면서 자기애가 느리게 증가하는 발달궤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자기애 변화율과 남성성 고정관념의 변화율은 자아
존중감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stereotypes and narcissistic developmental trajectories on developmental self-esteem developmental rajectories. The participants who were 436 in 4th year followed for 3 years in 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rough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LGM)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 s gender stereotypes, narcissism and self-esteem were trac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the masculine stereotypes and feminine stereotypes of children increased from 4th grade to 5th grade, but decreased in the 5th to 6th grade. Second, the child s self-development trajectory appeared to be a linear change model that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 was raised. However, as the 5th and 6th graders, the narcissism developed slowly. Third, the self-esteem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children increased gradually as the grade was raised, but it showed a change pattern in the form
of a secondary curve that continuously decreased after the fifth grade to sixth grade.
Fourth, the rate of change in children s narcissism and masculinity stereotyp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self-esteem. This study analyzes three years of longitudinal data within one study model,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for children in developmental age should be made differently according to ag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Ⅴ.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