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Learning Flow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희(Jung Hyun Hee) 박분희(Park Bun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825~8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학습몰입 및 삶의 만족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 지역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519명(남자 151명, 여자 368명)을 대
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은 학습몰입과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중 유능성은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율성과 관계성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learning flow and 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19 university students (151 males and 368 females) in the 1-4 grades attending 7
school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For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relation among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examined by means of bootstrapping.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e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and learning flow and life
satisfaction, and that autonomy and relatedness were not medi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