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hange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문수(Lee, Moonsoo) 박연복(Park, Yeonb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759~7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 초기 취업자의 심리적 요인인 직장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변화 형태를 분석하고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하고 있는 청년패널(Youth Panel) 조사에서 3개의 코
호트를 구성하여 최종 774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직장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변화 양상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의 변화 형태에 따라 직장만족도는 ‘감소 후 증가 집단(33.8%)’, ‘증가 후 감소 집단(66.2%)’으로 자아존중감은 ‘중상수준 증가형(49.9)’, ‘고수준 유지형(50.1%)’ 각 2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직장만족도 ‘증가 후 감소형’ 집단과 자아존중감 ‘고수준 유지형’ 집단은 남성, 4년제 대학 졸업자 비율이 높았으며 내재적 및 외재적 구직동기 또한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직장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잠재계층의 조건부 확률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직장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자기계발 기회 제공, 직장 내 재교육
등을 통해 청년들의 높은 자아존중감을 유지시켜 나갈 필요가 있으며, 성별, 학력, 심리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고용과 인적 자본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longitudinal changes in psychological factors of individual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and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on those changes. For these goals,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applied using Korean national database-Youth Panel 2007 data from three cohorts. Job satisfaction’s classes were defined as the ‘increasing after
decreasing(33.8%)’, ‘decreasing after increasing(66.2%)’, also self-esteem’s clas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reasing-medium upper level(49.9%)’, ‘ maintaining-high level(50.1%). ‘Decreasing after increasing job satisfaction’ group and ‘maintaining high self-esteem level’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male, 4-years university graduates, and
job motivation were hig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need to maintain the high self-esteem of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In addition, i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stable employment and human capital of the early workforce, taking into account the individual 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sychological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