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othing Practice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육경민(Yuk, Kyung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399~4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가정과 의생활 실습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그 사례를 연구하였다. 2019년 6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가정 교과 수업 시간 각 50분으로 구성된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총 10차시
3단계(수업 준비 단계-수업 중 단계-수업 후 단계)로 설계하여 실행하였다. 수업 후 2019년 7월 9일부터 7월 18일에 걸쳐 플립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가정 교과 의생활 실습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참여도, 수업수준, 수업자료 만족도, 이해도, 수업 만족도, 상호작용 영역에서 5점 만점에 평균 3.69-4.17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참여도와 상호작용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가정 교과 의생활실습수업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해 성찰일지 및 활동지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플립러닝 수업 방식은 개별적인 자기주도적 재학습이 가능하며 학습효과가 높았다는 성찰이 많았다. 본 연구는 가정과 의생활 실습에 플립러닝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flipped learning in home economics clothing practice classes and study the case of 262 high school first grade students. From June 1, 2019 to July 1, 2019, 10 lessons with flipped learning consisting of 50 minutes of home economics class time were designed and executed in three stages (class
preparation phase-in-class phase-after class)in 10 classes. After th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9 and July 18, 2019 to find out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he flipped learning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urvey, students showed a high score of 3.69 -4.17 on a five-point scale in terms of participation, class level, class material satisfaction, comprehension, clas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especially high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flection journal and activity contents in order to find out the plans and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othing practice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lipped
learning class method was able to independently re-learning and the learning effect was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lled flipped learning in home economics clothing practice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