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he school sexuality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life skills in the higher grade schoo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엄연주(Youn-Joo Um) 이규영(Lee, Gyu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445~4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초등학교 6학년 85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8월부터 11월 2일까지 총 8주 동안 주 1회 40분씩 8차시 성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남녀별, 남녀간 성지식·성태도·라이프스킬의 변화 정도를 SPSS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χ²-test, paired t-test,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지식은 남녀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성태도는 전체 성태도, 긍정적 성인식, 성주체성, 성평등성에서, 여학생은 전체성태도, 긍정적 성인식, 성위험행동예방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성태도(사전, 사후), 긍정적 성인식(사전, 사후), 성주체성(사전), 성위험행동예방(사전, 사후), 성평등성(사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학교성교육 후 라이프스킬에서 남학생은 비판
적 사고영역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여학생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는 항목이 없으나 전체라이프스킬(사전), 대인관계/의사소통(사전, 사후), 문제해결/의사결정(사전, 사후), 비판적사고(사전)에서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학교 성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남녀의 신체적·심리적 발달 수준과 요구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성별차이를 고려한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sexuality education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life skills by gend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sexual education program and sexual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Method: Once week for 40 minutes,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4 classes of 6thGrade 85 students participated in sex education, proving the resul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fore the sex education was conducted, and sex education, sexual attitude ,and life skills were analyzed through a post-test after 8 times sex education. Data analysis is was done using SPSS ver.25,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². two-way ANOVA. Resul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and female showed significant results(pre-post). Femal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econd, mal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xual attitude(overall), positive sexual recognition, gender identity, and gender equity, and female showed results of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exual attitude(overall), positive sexual recognition, prevention of sexual risk behaviors. Female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s in overall sexual attitudes(pre-post), positive sexual recognition(pre-post), prevention of sexual risk behaviors(pre-post), gender identity(pre), and gender equity(pre) than male students. Third, life skill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critical thinking of males, but not in females. But, female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s in
overall lifes kill(pre), interpersonal relationship/communication(pre-post), problem solving/decision making(pre-post), critical thinking(pre) than ma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 needs when providing sex education to schools. For this purpose, we propose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s with
gender difference in min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