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Connotation of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일(Piao ChengRi) 민용성(Min, YongS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 연구방법론의 함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기구조주의는 오늘날 교육 연구에서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고, 이미 수많은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다음과 같은 연구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Ball의 교육정책개혁 연구, Giroux의 비판교육학 연구, 佐藤学의 교육언어와 담론 해체적 분석 연구, Lather, Grumet, Noddings의 페미니즘 교육 연
구, Taubman, Daignault, Wen-Song Hwu의 교육과정 해체적 분석 연구 등이 그것이다.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을 근본과 기저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탈중심화’와 ‘차이’ 주목, ‘메타 서사’와 ‘절대 진리’ 해
체, ‘권력’ 거부와 ‘권력관계’ 해체, ‘주체성’ 해체, ‘텍스트’와 ‘담론’ 해체 등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 및 특징과 연구방법론의 근본과 기저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교육연
구자들이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을 현실의 교육 연구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and explore the Connotation of it’s Methodology. Post-structuralism has had a tremendous impact in education research and so many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cent decades.
This study selected some examples to exam th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ose are include: (1)Ball s study of educational policy reform; (2)Giroux s post-structuralism critical pedagogy research;
(3)Satomanabu s research of deconstruction of educational language and discourse; (4)Lather, Grumet, Noddings s feminism education research; (5)Taubman, Daignault, Wen-Song Hwu s curriculum deconstruction analysis. Further, this study explored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e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Post-structuralism idea and methodology, and take i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undation. Concretely, this study take it into as follows to exam: (1)“Decentralization” and gaze “differance”; (2)“Grand narrative” and “absolute truth” Deconstruction; (3)“Power” deny and “Power relations”
Deconstruction; (4)“Subjectivity” Deconstruction; (5) “Text” and “Discourse”
D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rough to comparative analysis that it with 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o clarified the change and evolve, and deepen our understandings for the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researchers may have a clear understandings for the modality and feature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and for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it’s
methodology. Further, we hope that it can be helpful for education research today.
목차
I. 서 론
Ⅱ.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 사례 고찰
Ⅲ.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의 근본과 기저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