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Ah/Eo Ji Da for Chinese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모홍월(MU HONGYU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아/어지다’의 교수-학습 방안을 찾아보기 위해 쓰였다. 이것을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12종의 한국어 교재를 선택해서 ‘-아/어지다’에 대한 교수-학습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수-학습의 양상을 살펴본 다음에는 중
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아/어지다’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아/어지다’를 사용하면서 범하는 오류를 찾아보았다. 결국 중국인 학습자들은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 등과 연되는 ‘-아/어지다’의 용법을 제대로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국인 학습자들에 대한 ‘-아/어지다’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생각해 볼 수 있는 학습 방안의 하나는 한국어 표현과 중국어 표현을 대응시켜 보여줌으로써 ‘-아/어지다’의 용법을 좀 더 효율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형용사와 연결되는 ‘-아/어지다’와 동사와 연결되는 ‘-아/어지다’를 서로 다른 문법항목으로 나누어서 가르치지 말고 이들을 하나의 문법 항목으로 묶어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피동의 의미를 드러내는 ‘-아/어지다’의 용법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아/어지다’를 피동을 가르치는 문법 항목과 연계해서 가르쳐야 하고, ‘-아/어지다’와 ‘-게 되다’의 용법을 가르칠 수 있는 문법 항목을 신설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to look for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Ah/Eo Ji Da’ for Chinese learners. For this purpose, in this paper, first selected 12 kin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looked at teaching-learning patterns about ‘-Ah/Eo Ji Da’.
After looking at the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 surveyed Chinese learners to find out their understanding of ‘-Ah/Eo Ji Da’ . And based on the survey, I looked for he errors Chinese learners made while using ‘-Ah/Eo Ji Da’. In the end, It turned out hat they were not really aware of the use of ‘-Ah/Eo Ji Da’ that connects adjectives,
automatic verbs, and transitive verbs. To solve the problem, I proposed a teaching-learning method ‘-Ah/Eo Ji Da’ for Chinese learners. One way to think about it was to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use of ‘-Ah/Eo Ji Da’ by showing in response to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s. And instead of teaching ‘-Ah/Eo Ji Da’ that is
connected to adjectives and ‘-Ah/Eo Ji Da’ that is linked to verbs by different grammar items, they should be taught by tying them together into one grammatical category. In addition, in order to teach the use of ‘-Ah/Eo Ji Da’ that reveals the passive meaning, ‘-Ah/Eo Ji Da’ should be taught in conjunction with the grammar items that teach
passive verb, and it is better to create new grammar items that can teach the usage of ‘-Ah/Eo Ji Da’ and -Ae Duida .
목차
Ⅰ. 서 론
Ⅱ. 교재에 나타난 ‘아/어지다’의 교수–학습 양상과 문제점
Ⅲ. ‘-아/어지다’의 사용 현황 조사
Ⅳ. ‘-아/어지다’의 사용 오류 분석
Ⅴ. ‘-아/어지다’의 교수-학습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