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Korean-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cale(K-EE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진(Yuj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1153~11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im(2015)이 개발한 직장인 전문성 개발척도의 한국판을 타당화하는 것이다.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판 직장인 전문성 개발 척도(Korean-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cale: K-EEDS)를 개발하였다. 한국 직
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K-EEDS 및 관련 척도들을 실시하였고, 이 중 50명에게 3주 간격의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와 동일한 4요인 요인구조가 K-EEDS 요인구조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문항은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여 원척도와 다른 요인에 부하되었다. 양호한 수준의 내적 신뢰도 및 3주의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자기보고 수행수준, Mieg(2009)전문성 척도, 및 적응적 수행 척도의 하위척도들과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 모든 상관
이 유의하였고 개념적으로 더 밀접하게 관련된 척도와 더 강한 상관을 보여 수렴 및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K-EEDS는 직장인의 전문성 수준과 적응적수행수준을 예측함에 있어 증분타당도가 입증되었다. K-EEDS 타당화가 전문성 개
발 이론 및 활용에 갖는 시사점, 관련된 비교 문화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cale(Kim, 2015). 300 Korean employees administered Korean-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cale(K-EEDS) and other scales. Among them, 50 participants readministered K-EEDS 3 weeks after their first administration in order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erified that the underlying factor structure of K-EEDS were identical to the 4 structure of the EEDS, although the order of the 4 factors were different and a few items did not load on the original factor: Engagement in Deliberate Practice, Developmental Work Experience,
Frequent and Focused Interactions, and Strategic Networking. A good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report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using the sub-scales of the Mieg(2009) expertise scale and the adaptive performance scale. Since the K-EEDS significantly and
substantially pr000edicted the expertise level and the adaptive performance, criterion validity were established. The validation process resulted in a 22-item, seven-point Likert-type K-EEDS that consists of 4 factor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values of the K-EED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