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tegrated Teaching Methods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세영(Kim Se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1311~13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육과정을 통해 교과통합수업을 설계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 의미와 실제를 탐구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는 초등교육과정을 읽고 사용함으로써 교과통합수업에 더 용이하게 다가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획
득함으로써 교육과정 가능성이라는 공간 안에서 더 폭넓게 교과통합수업을 설계할수 있다. 또한 초등교육과정의 교과를 내용교과와 표현교과로 인식함으로써 이 둘을 자유자재로 결합하여 교과통합수업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방법들은 교과통합수업의
실제를 가능케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층적 교육과정 모델에 기반하여 학생 흥미중심, 교사 흥미 중심, 교과 단원 중심, 교과 기능 중심, 학교 행사 중심, 사회 문제중심의 교과통합수업을 설계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grated teaching methods through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can design integrated instructions more easily by reading and using primary national curriculum. By acquiring curriculum literacy, teachers can make integrated instructions within the curriculum potential. And teachers can design
integrated instructions by recognizing the subjects of primary curriculum as content subjects and process subjects. In this study, I designed integrated instructions using these principles. As a result, it appeared the six different integrated instructions which were based on a multilayered curriculum model: student-interest oriented,
teacher-interest oriented, subjects-unit oriented, subjects-process oriented, school-events oriented, social problem oriented.
목차
Ⅰ. 서 론
Ⅱ.교과통합수업 설계를 위한 초등교육과정 접근법
Ⅲ. 교과통합수업 설계의 실제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