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phor Comprehension of the grades 3~6 ADHD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경순(Choi, Kyung Soon) 황민아(Hwang, Mi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8호, 567~5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3∼6학년 ADHD 아동이 문장내 은유 이해에서 문자적 의미를 억제하고 맥락의 적절한 의미를 활성화하는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6학년 ADHD 아동 11명과 또래 일반아동 21명이 문장-그림대응과제를 수행하였
다. 모든 아동들은 사실문장 또는 은유문장을 읽고 3개의 그림중에서 문장 의미에적절한 그림을 선택하였다. 아동의 수행은 정확도와 반응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정확도에서는 ADHD 아동과 또래 일반아동간의 수행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반응시간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사실문장 및 은유문장 모두에서 더 느리게 반응하였고, 그 차이는 사실 문장보다는 은유 문장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ADHD 아동은 문장 의미처리에 있어서 부절적한 정
보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적절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성화 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high-grade ADHD children to suppress literal meanings and activate appropriate meanings in contextual metaphorical semantics. For this purpose, 11 children in grades 3-6 ADHD and 21 general peers performed the sentence-picture correspondence task. All children read actual or metaphorical sentences and chose from the three pictures the appropriate picture for the meaning of the sentence. Children s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ccuracy and response time.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ADHD children and peer children in accuracy. However, in response time,
ADHD children responded more slowly in fact and metaphor sentences than in general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more in metaphor sentences than fact sentences. It appeared grea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ADHD have difficulty in effectively suppressing inappropriate information and activating appropriate information
in sentence semantic process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